UPack으로 실행 압축 된 notepad.exe를 PEView로 확인해 보니, IMAGE_OPTIONAL_HEADER와 IMAGE_SECTION_HEADER등의 PE 구조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. 또한 DOS Header 영역에 Import하는 DLL 파일이 보이고, DOS Stub이 보이지 않는 등 원본의 notepad.exe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. 이렇듯 PEView로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니 Stud_PE로 분석하자. e_magic이 4A5D, e_lfanew는 10이다. 즉, DOS Header에 NT Header를 겹쳐서 썼다는 것이다. 그러므로 offset 10에 NT Header의 시작인 Signature 값이 보인다. 여기서 주목해야 할 요소는 SizeOfOptionalHeader..